맨위로가기

조르조 파리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르조 파리시는 이탈리아 출신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프라스카티 국립 연구소, 컬럼비아 대학교, 고등과학연구원, 파리 고등사범학교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교 교수를 거쳐 현재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재직 중이며, 린체이 아카데미아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통계 물리학, 장론, 동역학계, 수리물리학, 응집 물질 물리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했으며, 특히 스핀 글래스, 최적화 이론, 무질서 시스템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파리시는 1992년 볼츠만상, 2021년 노벨 물리학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이탈리아 연구를 구하자" 운동을 이끌며 기초 연구 자금 지원 확대를 촉구하는 사회 활동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카를로 루비아
    카를로 루비아는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에서 사이먼 판 데르 메르와 함께 W와 Z 보손을 발견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이탈리아의 입자물리학자이다.
  • 이탈리아의 노벨상 수상자 - 다니엘 보베
    다니엘 보베는 스위스 출신의 생리학자이자 약리학자이며, 항히스타민제 및 근육 이완제 개발에 기여했다.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교수 - 마리아 몬테소리
    마리아 몬테소리는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의사이자 몬테소리 교육법을 개발한 교육자로, 장애 아동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아동의 자기 발전 가능성을 중시하는 교육법을 개발하여 전 세계적으로 확산시켰으며, 국제 몬테소리 협회 설립 및 아동의 권리와 평화를 위해 헌신하였다.
  •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교수 - 다니엘 보베
    다니엘 보베는 스위스 출신의 생리학자이자 약리학자이며, 항히스타민제 및 근육 이완제 개발에 기여했다.
조르조 파리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6년의 파리시
2006년의 파리시
이름조르조 파리시
로마자 표기Giorgio Parisi
출생일1948년 8월 4일
출생지로마, 이탈리아
국적이탈리아
학문 분야
분야물리학
통계역학
양자장론
교육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Laurea)
직장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
파리 고등사범학교
학문 지도 교수니콜라 카비보
알려진 업적레플리카 트릭
파리시-수를라스 확률적 양자화
알타렐리-파리시 방정식
카르다-파리시-장 방정식
수상
수상 내역볼츠만 메달
디랙 메달
엔리코 페르미 상
대니 하이네만 상
노니노 상
마이크로소프트 상
라그랑주 상
막스 플랑크 메달
EPS 고에너지 및 입자 물리학 상
라스 온사거 상
포메란추크 상
울프상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 인용 영예상
노벨 물리학상 (2021년)
참고 문헌
외부 링크
외부 링크""
노벨 물리학상 전체 목록
2021년 노벨 물리학상, 마나베 씨 등 3명에게 - AFPBB News

2. 생애 및 교육

로마에서 태어났다. 1970년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에서 니콜라 카비보 교수의 지도를 받아 학위를 취득했다.[1] 1971년부터 1981년까지 이탈리아 국립 핵물리 연구소(INFN)에서 연구원으로 활동했다.[2] 이 기간 동안 해외 여러 기관에서 객원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는데, 1973년부터 1974년까지는 미국컬럼비아 대학교, 1976년부터 1977년까지는 프랑스의 고등과학연구원(IHÉS), 그리고 1977년부터 1978년까지는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연구를 수행했다.[2] 1981년에는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1992년부터는 모교인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2]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린체이 아카데미아의 회장을 역임했다.[2]

3. 경력

1970년 로마 대학교를 졸업했다. 1971년부터 1981년까지 프라스카티 국립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재직했으며, 이 기간 동안 컬럼비아 대학교(1973–1974), 고등과학연구원(1976–1977), 파리 고등사범학교(1977–1978)에서 객원 과학자로 활동했다.[4] 1981년부터 1992년까지 로마 토르 베르가타 대학교에서 이론 물리학 정교수로 재직했고, 1992년부터는 모교인 로마 라 사피엔차 대학교의 양자 이론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사이먼스 협력 "유리 문제 해결"의 일원이었다.[4]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린체이 아카데미아의 회장을 역임했으며,[6] 2023년에는 세계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4. 연구 업적

조르조 파리시의 연구는 통계 물리학, 장론, 동역학계, 수리물리학, 응집 물질 물리학 등 매우 폭넓은 분야를 아우른다. 특히 스핀 글래스와 같은 무질서하고 복잡한 시스템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7][8] 기초 입자 물리학, 유체 역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9][10][11] 그의 연구는 복잡계 과학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12]

4. 1. 복잡계 및 무질서 시스템

조르조 파리시의 연구 분야는 통계 물리학, 장론, 동역학계, 수리물리학, 응집 물질 물리학 등 매우 광범위하다. 특히 스핀 글래스와 최적화 이론, 그리고 생물학에서 파생된 관련 통계 역학 모델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7] 그는 1971년 샘 에드워즈 경(샘 에드워즈)이 처음 발견한 무질서 시스템에 대한 복제 방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8]

또한 기초 입자 물리학 분야, 특히 양자 색역학끈 이론 연구에도 기여했다. 귀도 알타렐리와 함께 소위 도크시처-그리보프-리파토프-알타렐리-파리시(DGLAP) 방정식을 도입했다.[9] 유체 역학 분야에서는 우리엘 프리쉬와 함께 난류에서 간헐성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멀티프랙탈 모델을 제시했다.[10] 확률적 집계를 모델링하는 카다르-파리시-장 방정식(KPZ 방정식)으로도 유명하다.[11] 복잡계 관점에서 동물들의 집단 운동(예: 군집 및 무리)을 연구했으며, 다른 이탈리아 물리학자들과 함께 기후 변화 연구에 확률 공명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12]

4. 2. 입자 물리학

그는 기초 입자 물리학 분야, 특히 양자 색역학끈 이론에도 기여했다. 그는 귀도 알타렐리와 함께 소위 도크시처-그리보프-리파토프-알타렐리-파리시 방정식을 도입했다.[9]

4. 3. 유체 역학

유체 역학 분야에서는 우리엘 프리쉬(Uriel Frisch)와 함께 난류에서 간헐성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멀티프랙탈 모델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그는 또한 확률적 집계를 모델링하는 카다르-파리시-장 방정식으로도 유명하다.[11]

4. 4. 기타 연구

조르조 파리시의 연구는 통계 물리학, 장론, 동역학계, 수리물리학, 응집 물질 물리학 등 매우 폭넓은 분야를 다룬다. 특히 스핀 글래스와 최적화 이론, 그리고 생물학에서 영감을 받은 관련 통계 역학 모델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7] 그는 샘 에드워즈 경이 1971년에 처음 발견한 무질서 시스템에 대한 복제 방법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8]

또한 기초 입자 물리학 분야, 특히 양자 색역학끈 이론 연구에도 기여했다. 귀도 알타렐리(Guido Altarelli)와 함께 도크시처-그리보프-리파토프-알타렐리-파리시 방정식을 도입하기도 했다.[9] 유체 역학 분야에서는 우리엘 프리쉬(Uriel Frisch)와 함께 난류에서 나타나는 간헐성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멀티프랙탈 모델을 제시했다.[10] 확률적 과정을 통해 표면이 성장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카다르-파리시-장 방정식 역시 그의 이름이 붙어 있다.[11] 복잡계 연구의 관점에서는 새 떼나 물고기 떼와 같은 동물들의 집단적인 움직임에 대해서도 연구했다. 그는 또한 다른 이탈리아 물리학자들과 함께 기후 변화 연구에 확률 공명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12]

5. 수상 경력

2021년 이탈리아 대통령 세르조 마타렐라와 함께 있는 파리시


조르조 파리시는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13] 미국 철학 학회,[14] 그리고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의 외국 회원이다.[15]
::"1992년 볼츠만 메달은 통계 물리학에 대한 근본적인 기여, 특히 스핀 글래스의 평균장 이론에 대한 해를 제시한 조르조 파리시에게 수여되었다."[16]

  • ICTP 디랙 메달 (1999)

::"조르조 파리시는 심하게 비탄성적인 과정(알타렐리-파리시 방정식)에서 스케일링 위반 연구, 쿼크 가두기로서 초전도체의 플럭스 제한 모델 제안, 통계적 고전 시스템에서 초대칭성 사용, 난류에 다중 프랙탈 도입, 무작위 집합체의 성장 모델에 대한 확률 미분 방정식(Kardar–Parisi–Zhang 방정식) 및 유리질 시스템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하고, 무질서 시스템 전체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한 레플리카 방법의 획기적인 분석으로 물리학의 여러 분야에 독창적이고 심오한 기여를 했다는 점이 돋보인다."[17]

  • 엔리코 페르미상 (2002)

::"장 이론과 통계 역학, 특히 무질서 시스템의 통계적 특성에 대한 근본적인 결과에 대한 기여로."[18]

  • 수학 물리학에 대한 대니 하이네만 상 (2005)

::"기본 입자 물리학, 양자장 이론, 통계 역학의 광범위한 분야, 특히 스핀 글래스 및 무질서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이론적 발견."[19]

  • 노니노상 “우리 시대의 이탈리아 거장” (2005)

::"세계적으로 유명한 이론 물리학자 조르조 파리시는 예측 불가능한 것, 즉 실제 세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과 그것의 가능한 법칙을 연구하는 사람이다. 복잡성의 선구자인 그의 연구는 혼돈 시스템 내의 규칙과 균형을 가설로 제시하는 수학적 도구로, 면역학에서 우주론에 이르기까지 인류 지식의 모든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견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의 연구는 우리 존재의 미로에서 다음 “아리아드네의 실”을 찾는 것이다."[20]

  • 마이크로소프트상 (2007)

::"그는 기본 입자 물리학, 양자장 이론 및 통계 역학, 특히 상전이 이론과 스핀 글래스에 대한 레플리카 대칭 파괴에 탁월한 기여를 했다. 분석적 증명의 결론을 뒷받침하고 추가 연구를 적극적으로 동기 부여하기 위해 컴퓨터를 사용하는 그의 접근 방식은 그의 분야에서 근본적인 중요성을 갖는다."[21]

  • 라그랑주상 (2009) - 지식의 다양한 분야에서 복잡성 과학 발전에 가장 크게 기여한 과학자에게 수여.[22]
  • 막스 플랑크 메달 (2011)

::"이론적인 기본 입자 물리학 및 양자장 이론, 특히 고정된 무질서, 특히 스핀 글래스를 가진 시스템에 대한 그의 중요한 기여에 대해."[23]

  • 네이처 과학 멘토링 부문상 – 이탈리아 (2013) - 평생 공로상. 이 상은 과학 저널 "네이처"에 의해 매년 다른 국가에 수여된다.[24]
  • 고에너지 및 입자 물리학상 – EPS HEPP 상 (2015)

::"쿼크와 글루온의 역학에 대한 확률적 장 이론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하드론을 포함하는 고에너지 충돌에 대한 정량적 이해를 가능하게 함."[25]

  • 라르스 온사거상 (2016)

::"계산 문제의 앙상블에 스핀 글래스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획기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효율적인 알고리즘의 새로운 클래스와 구조 및 복잡성에서 상전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26]

  • 포메란추크상 (2018)

::"양자장 이론, 통계 역학 및 입자 이론에서 뛰어난 결과에 대해."[27]

  • 에스트레마두라 대학교 명예 과학 박사 학위 (2019)[28]
  • 울프상 (2021)

::"무질서 시스템, 입자 물리학 및 통계 물리학에서 획기적인 발견에 대해. 울프 물리학상은 지난 수십 년 동안 가장 창의적이고 영향력 있는 이론 물리학자 중 한 명인 조르조 파리시에게 수여되었다. 그의 연구는 입자 물리학, 임계 현상, 무질서 시스템, 최적화 이론 및 수학 물리학 분야를 아우르는 다양한 물리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친다."[29]

  • 클래리베이트 인용 우수 연구자 (2021)

::"양자 색역학 및 복잡한 무질서 시스템 연구에서 획기적인 발견에 대해."[30]
::"원자에서 행성 규모에 이르는 물리적 시스템에서 무질서와 변동의 상호 작용을 발견한 것에 대해."[31]

  • 이탈리아 공로 훈장 기사 대십자장 (Cavaliere di Gran Croce Ordine al Merito della Repubblica Italiana|카발리에레 디 그란 크로체 오르디네 알 메리토 델라 레푸블리카 이탈리아나ita) (2021)[32]

6. 사회 활동

2016년부터 조르조 파리시는 이탈리아유럽 정부에 기초 연구에 대한 충분한 자금 지원을 촉구하는 Salviamo la Ricerca Italiana|살비아모 라 리체르카 이탈리아나ita("이탈리아 연구를 구하자") 운동을 이끌고 있다.[33]

7. 저서


  • 마르크 메자르, 조르조 파리시, 미겔 앙헬 비라소로. (1987). ''Spin glass theory and beyondeng''. 싱가포르: 월드 사이언티픽. ISBN 978-9971-5-0115-0.
  • 조르조 파리시. (1988). ''Statistical Field Theoryeng''. 애디슨 웨슬리. ISBN 978-0201059854.
  • 조르조 파리시. (2006). ''La chiave, la luce, l'ubriacoita''. 로마: 디 렌조 에디토레. ISBN 978-88-8323-149-0.
  • 조르조 파리시, 제나로 아울레타, 마우로 포르투나토. (2009). ''Quantum Mechanicseng''.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0-521-86963-8.
  • 조르조 파리시, 피에르프란체스코 우르바니, 프란체스코 잠포니. (2020). ''Theory of Simple Glasseseng''.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ISBN 978-1108120494.


'''번역서'''

  • ''통계적 장론''의 일본어 번역: 「場の理論 ― 統計力学からのアプローチjpn」, 아오키 카오루・아오야마 히데아키 공역, 요시오카 서점, 1993년.

참조

[1] 논문 Profile of Giorgio Parisi
[2] 웹사이트 47 new Fellows elected to TWAS https://twas.org/art[...] 2023-10-31
[3]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s://www.nobelpri[...] 2021-10-05
[4] 웹사이트 Simons Collaboration: Cracking the Glass Problem https://www.simonsfo[...] Simons Foundation
[5] 웹사이트 Il fisico Giorgio Parisi eletto presidente dell'Accademia dei Lincei http://www.ansa.it/c[...] ANSA 2018-06-22
[6] 웹사이트 7 new Fellows elected to TWAS https://twas.org/art[...] TWAS 2023-10-31
[7] 서적 Spin glass theory and beyond: An Introduction to the Replica Method and Its Applications World Scientific
[8] 서적 Statistical mechanics of rubber. In Polymer networks: 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Plenum Press, New York
[9] 논문 Asymptotic freedom in parton language
[10] 간행물 On the singularity structure of fully developed turbulence http://www-thphys.ph[...]
[11] 논문 Dynamic Scaling of Growing Interfaces https://link.aps.org[...] 1986-03-03
[12] 논문 Stochastic resonance in climatic change https://onlinelibrar[...] 1982
[13] 웹사이트 Giorgio Parisi http://www.academie-[...] French Academy of Sciences
[14]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3-17
[15] 웹사이트 Giorgio Parisi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6] 웹사이트 C3 Commission Award – The Boltzmann Medal http://iupap.org/com[...]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Physics
[17] 웹사이트 Dirac Medallist 1999 http://www.ictp.it/a[...] International Centre for Theoretical Physics
[18] 웹사이트 Enrico Fermi Prize list of winners. http://en.sif.it/act[...] Italian Physical Society
[19] 웹사이트 2005 Dannie Heineman Prize for Mathematical Physics Recipient.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0] 웹사이트 Nonino Prize 2005 "An Italian Master of our Time" http://www.grappanon[...] Premio Nonino
[21] 웹사이트 Quantum scientist wins Euro computing prize https://www.theregis[...] 2007-10-16
[22] 웹사이트 Lagrange-CRT Foundation Prize winners. http://www.progettol[...] CRT Foundation
[23] 웹사이트 The Max Planck medal laureates and winners 2011 http://www.dpg-physi[...] Deutsche Physikalische Gesellschaft
[24] 웹사이트 Nature Prize for Mentoring in Science – Italy http://www.nature.co[...] Nature
[25] 웹사이트 The High Energy and Particle Physics Prizes https://eps-hepp.web[...] European Physical Society
[26] 웹사이트 2016 Lars Onsager Prize Recipient http://www.aps.org/p[...] American Physical Society
[27] 웹사이트 2018 Pomeranchuk Prize Recipients http://www.itep.ru/s[...]
[28] 웹사이트 Distinciones y Honores — Portal de la UEX - Bienvenido a la Universidad de Extremadura https://www.unex.es/[...] 2021-12-01
[29] 웹사이트 2021 Wolf Prize Recipients https://wolffund.org[...]
[30] 웹사이트 Clarivate Unveils Citation Laureates 2021 – Annual List of Researchers of Nobel Class https://www.newswire[...]
[31] 웹사이트 Press release: The Nobel Prize in Physics 2021 https://www.nobelpri[...]
[32] 웹사이트 Parisi Prof. Giorgio https://www.quirinal[...]
[33] 웹사이트 Italian scientists protest 'serious neglect' of research https://www.science.[...] Science
[34] 웹사이트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s://www.nobelpri[...] 2021-10-05
[35] 웹사이트 2021年ノーベル物理学賞、真鍋氏ら3氏に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21-10-05
[36] 웹인용 All Nobel Prizes in Physics https://www.nobelpri[...] 2021-1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